작가검색

작품이미지

만회 조사석 晩悔 趙師錫Cho SaSeok

1632 ~ 1693

조선

작가약력

  • 1632(인조 10)∼1693(숙종 19). 조선 후기의 문신.

작가 소개

본관은 양주(楊州). 자는 공거(公擧), 호는 만회(晩悔) 또는 만휴(晩休)·향산(香山)·나계(蘿溪). 남(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존성(存性)이고, 아버지는 형조판서 계원(啓遠)이다. 어머니는 영의정 신흠(申欽)의 딸이다. 태구(泰耉)의 아버지이다.
1660년(현종 1) 진사가 되고, 1662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의 관직과 주서 등을 거쳤다. 1666년 사관(史官)인 검열이 되고, 이어 봉교·겸설서로 승진하였다.
사관으로 있을 때인 1667년 왕이 지난해에 정태화(鄭太和)·홍명하(洪命夏)·허적(許積)을 탄핵한 이숙(李)·박증휘(朴增煇) 등 7명의 간관을 유배보내면서 사관들에게 이를 사초(史草)에 기록하지 말도록 명했으나, 왕의 거둥은 반드시 기록해야 하는 것이라며 거절하고 이를 사초에 기록하였다.
이 일로 왕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당했으나, 파직의 왕명이 곧 철회됨으로써 복직되었다. 그 뒤 전적·정언·사서·지평 등을 거쳐 1672년 말에 접위관(接慰官)이 되어 동래에서 왜인을 접대하였다. 그 뒤 부교리·헌납·이조정랑 등을 거쳐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진하였다.
1675년(숙종 1)에 수원부사를 거쳐 이후 황해도관찰사·예조참의·승지·강원도관찰사·충청도수사·경기도관찰사·이조참판 겸 수어사(守禦使)·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1680년 예조판서가 되었다.
이어 대사헌·호조판서·강화유수·병조판서·판의금부사·우참찬·좌참찬·이조판서 등을 거쳐 1687년에 우의정이 되었다. 그 사이 1683년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기도 하였다.
1688년 좌의정이 되었는데, 이 때 인조의 손자인 동평군 항(東平君杭)의 횡포를 논하다가 처벌된 박세채(朴世采)^남구만(南九萬) 등을 변호하여 왕의 노여움을 사게 되자 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다음해 판돈녕부사가 되었고, 이어 영돈녕부사가 되었으나, 1691년 전 해에 있었던 왕세자책봉하례에 참석하지 않은 죄로 고성(固城)에 유배되어 배소에서 죽었다. 죽은 뒤인 1694년 갑술환국으로 복관되었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