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 Service
- 작가검색
노무현 盧武鉉Roh MooHyun
1946 ~ 2009
한국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작가약력
작가 소개
본관은 광주(光州)로 1946년 9월 1일 경남 김해 진영 봉하마을에서 태어났다.
부산상고를 졸업하고, 1975년 네 번째 도전 끝에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77년 대전지방법원 판사로 임용되었으나 이듬해 5월 사직하고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이후 한동안 변호사 생활을 하다가 1981년 제5공화국 정권의 민주화 세력에 대한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釜林事件)의 변론을 맡은 것을 계기로 학생·노동자 등의 인권사건을 변호하는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88년 국회의원에 당선돼 정치에 입문한 뒤 제5공화국 비리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연한 논리와 날카로운 질문으로 증인들을 추궁하여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 ‘작은’ 민주당 창당에 동참했다. 야권통합을 주도해 통합민주당 대변인이 되었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부산 동구에 출마해 낙선하고, 1995년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해 역시 고배를 마셨다. 1998년 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됐으나 2000년 16대 총선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높은 종로구에 출마하지 않고, 지역감정의 벽을 넘겠다며 다시 부산에서 출마해 낙선했다. 이로 인해 ‘바보 노무현’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가 탄생하는 계기가 됐다. 국민의 정부에서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다.
2002년 국민경선에서 ‘노풍’을 일으키며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해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된 뒤 2003년 2월 25일 제16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참여정부’를 표방하며 취임한 지 1년이 지난 2004년 초,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위반과 측근 비리 등에 대한 야당의 사과 요구를 거절하자 야당인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이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2일 국회의장은 경호권을 발동하여 소수 여당인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반대를 저지한 채 국회 본회의에 탄핵소추안을 기습 상정하였고, 다수를 점한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이 투표하여 찬성 193, 반대 2로 탄핵소추안을 가결시킴으로써 국무총리 고건이 직무를 대행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되자 이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비난이 빗발치고 전국 각지에서 탄핵반대 촛불시위가 잇따랐으며, 같은 해 4월 15일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과반이 넘는 152석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 같은 해 5월 14일 헌법재판소가 탄핵소추안에 대하여 기각 결정을 내림으로써 두 달 만에 대통령직에 복귀하였다.
임기 중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으로 내세웠던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내림으로써 정치적 타격을 입었고, 이라크 파병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여 지지자들이 등을 돌리는 결과를 낳았다. 유력 일간신문을 비롯한 언론과 대립하여 임기 내내 언론으로부터 호의적 반응을 얻지 못하는 등 보수 진영으로부터는 친북좌파라는 비난을, 진보 진영으로부터는 신자유주의자라는 비판에 시달렸다. 정치인생을 일관하여 고질적인 지역주의를 청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사회 전반에 만연한 권위주의를 타파하는 데도 공헌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미(對美) 외교에서는 ‘대등한 관계’를 추구하였으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북한과 긴장관계를 해소하는 데 힘썼다. 대통령 임기 말인 2007년 10월 4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분단 후 처음으로 걸어서 판문점을 통과하여 평양을 방문,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남북관계 발전 및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4선언)’을 발표하였다.
2008년 2월 24일 대통령 임기를 마친 뒤 고향인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의 봉하마을로 귀향하여 오리농사, 마을청소에 참여하는 등 평범한 전원생활을 하는 한편, ‘사람 사는 세상’이라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사람들과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였고, 건전한 토론문화를 조성한다는 취지로 인터넷 토론 사이트 ‘민주주의 2.0’을 개설하여 세상과 소통하였다. 그러나 퇴임할 때 대통령 재임 시의 기록물 복사본을 가지고 귀향한 것과 관련하여 ‘국가기록물 무단유출’에 대한 수사를 시작으로 검찰에 의하여 측근과 친형, 부인·아들·딸 등이 비리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으로, 2009년 4월 30일 대한민국 전직 대통령으로는 세 번째로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23일 유서를 컴퓨터에 남기고 사저 뒷산의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하여 서거하였다.
부산상고를 졸업하고, 1975년 네 번째 도전 끝에 제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으며, 1977년 대전지방법원 판사로 임용되었으나 이듬해 5월 사직하고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을 개업하였다. 이후 한동안 변호사 생활을 하다가 1981년 제5공화국 정권의 민주화 세력에 대한 용공조작 사건인 부림사건(釜林事件)의 변론을 맡은 것을 계기로 학생·노동자 등의 인권사건을 변호하는 인권변호사의 길을 걸었다. 1988년 국회의원에 당선돼 정치에 입문한 뒤 제5공화국 비리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정연한 논리와 날카로운 질문으로 증인들을 추궁하여 ‘청문회 스타’로 떠올랐다. 1990년 ‘3당 합당’에 반대, ‘작은’ 민주당 창당에 동참했다. 야권통합을 주도해 통합민주당 대변인이 되었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 부산 동구에 출마해 낙선하고, 1995년 부산시장 선거에 출마해 역시 고배를 마셨다. 1998년 서울 종로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 당선됐으나 2000년 16대 총선에서는 당선 가능성이 높은 종로구에 출마하지 않고, 지역감정의 벽을 넘겠다며 다시 부산에서 출마해 낙선했다. 이로 인해 ‘바보 노무현’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고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가 탄생하는 계기가 됐다. 국민의 정부에서 해양수산부 장관을 지냈다.
2002년 국민경선에서 ‘노풍’을 일으키며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해 한나라당의 이회창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된 뒤 2003년 2월 25일 제16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참여정부’를 표방하며 취임한 지 1년이 지난 2004년 초,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위반과 측근 비리 등에 대한 야당의 사과 요구를 거절하자 야당인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이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하였다. 같은 해 3월 12일 국회의장은 경호권을 발동하여 소수 여당인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반대를 저지한 채 국회 본회의에 탄핵소추안을 기습 상정하였고, 다수를 점한 한나라당과 새천년민주당이 투표하여 찬성 193, 반대 2로 탄핵소추안을 가결시킴으로써 국무총리 고건이 직무를 대행하였다. 그러나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되자 이를 반대하는 국민들의 비난이 빗발치고 전국 각지에서 탄핵반대 촛불시위가 잇따랐으며, 같은 해 4월 15일 치러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과반이 넘는 152석을 차지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 같은 해 5월 14일 헌법재판소가 탄핵소추안에 대하여 기각 결정을 내림으로써 두 달 만에 대통령직에 복귀하였다.
임기 중 대통령 선거에서 공약으로 내세웠던 ‘신행정수도 이전’에 대하여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내림으로써 정치적 타격을 입었고, 이라크 파병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여 지지자들이 등을 돌리는 결과를 낳았다. 유력 일간신문을 비롯한 언론과 대립하여 임기 내내 언론으로부터 호의적 반응을 얻지 못하는 등 보수 진영으로부터는 친북좌파라는 비난을, 진보 진영으로부터는 신자유주의자라는 비판에 시달렸다. 정치인생을 일관하여 고질적인 지역주의를 청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고, 사회 전반에 만연한 권위주의를 타파하는 데도 공헌하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미(對美) 외교에서는 ‘대등한 관계’를 추구하였으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하여 북한과 긴장관계를 해소하는 데 힘썼다. 대통령 임기 말인 2007년 10월 4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분단 후 처음으로 걸어서 판문점을 통과하여 평양을 방문,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남북 정상회담을 열고 ‘남북관계 발전 및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10·4선언)’을 발표하였다.
2008년 2월 24일 대통령 임기를 마친 뒤 고향인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의 봉하마을로 귀향하여 오리농사, 마을청소에 참여하는 등 평범한 전원생활을 하는 한편, ‘사람 사는 세상’이라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사람들과 소소한 일상을 공유하였고, 건전한 토론문화를 조성한다는 취지로 인터넷 토론 사이트 ‘민주주의 2.0’을 개설하여 세상과 소통하였다. 그러나 퇴임할 때 대통령 재임 시의 기록물 복사본을 가지고 귀향한 것과 관련하여 ‘국가기록물 무단유출’에 대한 수사를 시작으로 검찰에 의하여 측근과 친형, 부인·아들·딸 등이 비리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으로, 2009년 4월 30일 대한민국 전직 대통령으로는 세 번째로 검찰의 소환조사를 받았다. 같은 해 5월 23일 유서를 컴퓨터에 남기고 사저 뒷산의 부엉이바위에서 투신하여 서거하였다.
출처/노무현재단,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