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 Service
- 작가검색
배정자 裵貞子Bae JeongJa
1870 ~ 1952
조선·근대
작가약력
- 1870(고종 7)~1952. 일본의 조선 정보원으로 활동한 밀정.
작가 소개
1870년 경상남도김해에서 출생했다. 초명은 배분남(裵粉南)이며, 아버지가 민씨일파에게 처형된 뒤 죄적(罪籍)에 올라 어머니를 따라 유랑생활을 하다가 1882년 여승(女僧)이 되었다.
1885년 아버지의 친구이며 밀양부사인 정병하(鄭秉夏)의 도움으로 일본에 도피했다. 망명 중이던 안경수(安駉壽)의 도움을 받아 도쿄 소쓰나[尙綱] 여자중학교를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김옥균 등에게 의탁했다가 1887년 이토[伊藤博文]의 양녀가 되었다. 사다코[貞子]로 개명하고 철저한 정보원 교육을 받은 뒤, 1894년 동학농민혁명 때 스파이 임무를 띠고 일본어 통역 명목으로 귀국하여 신분을 숨기고 고종에게 접근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으며 이후 정치 정보를 빼내는 등 고급 밀정으로 활동했다. 1895년 일본 공사관의 조선어 교사였던 현영운과 결혼했다가 약 1년 후 이혼했으며, 박영철과 5년 동안 결혼생활을 유지하다가 이혼했다.
1905년 이토 히로부미의 밀서를 고종에게 전달한 밀서 사건으로 절영도에 유배되었다가, 이토가 초대 통감부 통감으로 부임하자 풀려나 다시 밀정으로 복귀했다. 1909년 조선 주둔 일본군의 헌병대 조선인 촉탁, 일본 제국 외무부 공무원 등으로 근무했다. 1918년 10월부터 1919년 10월 29일까지 만주 하얼빈 주재 일본총영사관 직원으로 활동했다. 1920년에는 조선총독부가 만주 지역에 설립한 첩보 단체 만주보민회에 가입해서 활동했고, 1920년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 때는 봉천(奉天)의 일본 총영사관(總領事館) 직원으로 만주, 시베리아를 오가며 군사 스파이로 활약했다. 그 후 간도,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동가들의 체포를 위해 암약하다가 다시 국내로 돌아와 1922년부터 총독부 경무국의 촉탁으로 근무했다.
그 뒤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마루야마 쓰루기치[丸山鶴吉]의 지령을 받아 만주와 중국을 오가며 만주, 간도, 상하이, 중국 본토 등을 오가며 활동했으며, 당대 친일파 및 일본인의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대한통의부 비밀암살단 박희광(朴喜光)의 위협으로 1927년 은퇴하였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 위안부 송출 업무를 맡아 70 노구에도 불구하고, 조선인 여성 100여 명을 ‘군인위문대’라는 이름으로 남양군도까지 조선인 여성들을 데리고 가서 일본군의 위안부 노릇을 할 것을 강요했다. 해방 후 야산에 숨어 살다가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해 1949년 체포, 구속되었다. 1952년 2월 27일 사망했다.
1885년 아버지의 친구이며 밀양부사인 정병하(鄭秉夏)의 도움으로 일본에 도피했다. 망명 중이던 안경수(安駉壽)의 도움을 받아 도쿄 소쓰나[尙綱] 여자중학교를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김옥균 등에게 의탁했다가 1887년 이토[伊藤博文]의 양녀가 되었다. 사다코[貞子]로 개명하고 철저한 정보원 교육을 받은 뒤, 1894년 동학농민혁명 때 스파이 임무를 띠고 일본어 통역 명목으로 귀국하여 신분을 숨기고 고종에게 접근하여, 고종의 총애를 받으며 이후 정치 정보를 빼내는 등 고급 밀정으로 활동했다. 1895년 일본 공사관의 조선어 교사였던 현영운과 결혼했다가 약 1년 후 이혼했으며, 박영철과 5년 동안 결혼생활을 유지하다가 이혼했다.
1905년 이토 히로부미의 밀서를 고종에게 전달한 밀서 사건으로 절영도에 유배되었다가, 이토가 초대 통감부 통감으로 부임하자 풀려나 다시 밀정으로 복귀했다. 1909년 조선 주둔 일본군의 헌병대 조선인 촉탁, 일본 제국 외무부 공무원 등으로 근무했다. 1918년 10월부터 1919년 10월 29일까지 만주 하얼빈 주재 일본총영사관 직원으로 활동했다. 1920년에는 조선총독부가 만주 지역에 설립한 첩보 단체 만주보민회에 가입해서 활동했고, 1920년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 때는 봉천(奉天)의 일본 총영사관(總領事館) 직원으로 만주, 시베리아를 오가며 군사 스파이로 활약했다. 그 후 간도, 상하이 등지에서 독립운동가들의 체포를 위해 암약하다가 다시 국내로 돌아와 1922년부터 총독부 경무국의 촉탁으로 근무했다.
그 뒤 조선총독부 경무국장 마루야마 쓰루기치[丸山鶴吉]의 지령을 받아 만주와 중국을 오가며 만주, 간도, 상하이, 중국 본토 등을 오가며 활동했으며, 당대 친일파 및 일본인의 두려움의 대상이었던 대한통의부 비밀암살단 박희광(朴喜光)의 위협으로 1927년 은퇴하였다.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 위안부 송출 업무를 맡아 70 노구에도 불구하고, 조선인 여성 100여 명을 ‘군인위문대’라는 이름으로 남양군도까지 조선인 여성들을 데리고 가서 일본군의 위안부 노릇을 할 것을 강요했다. 해방 후 야산에 숨어 살다가 반민족행위처벌법에 의해 1949년 체포, 구속되었다. 1952년 2월 27일 사망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