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학산 윤제홍 鶴山 尹濟弘Yun JeHong

1764 ~ ?

조선

한국화

작가약력

  • 1764(영조 40)∼1840년 이후. 조선 후기의 문인 화가.

작가 소개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경도(景道), 호는 학산(鶴山) 또는 찬하(餐霞). 이재(李縡)의 문인 윤득수(尹得壽)의 손자이며, 윤석복(尹錫復)의 아들이다. 고향은 양주이다. 그 집안에 전해 오는 「부미첩(負米帖)」을 보면 몹시 곤궁한 생활을 하면서도 집안에 청백리와 효자가 많았음을 자부하였다고 한다.
1792년(정조 16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1794년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史官)을 거쳐 1801년 정언이 되었다. 1806년 김구주(金龜柱)의 관작이 추탈될 때 그 일파라 하여 창원에 유배되었다. 1830년 풍천 부사로 재임 중 암행어사 홍희석(洪羲錫)의 탄핵으로 삭직 당하였으나, 1840년 다시 대사간에 이르렀다. 유배를 당하면서도 대사간에 이른 것을 보면 교우 관계도 넓었을 법한데, 그의 화명(畵名)을 알려 주는 기록은 신위(申緯)가 “청풍수(淸風守) 윤제홍의 산수는 한때의 선(選)이다”라고 한 것밖에 확인되지 않는다.
19세기 초 화단에서 독특한 개성을 발휘한 문인화가로서, 조선 말기에 유행한 이색화풍에 영향을 미쳤다. 남종문인화풍의 산수화가 유작의 다수를 차지한다. 그 중에는 높은 화격을 보여 주는 작품도 전해진다. 특히 지두화(指頭畵)에 능하여 여러 폭의 지두화첩을 남겼다. 작품에 적힌 제기(題記) 중에는 정선(鄭敾), 심사정(沈師正), 이인상(李麟祥) 등의 화풍과 스스로 비교한 것들이 있으며 때로는 이들을 방작(倣作)한 것도 보인다. 특히 「고사도(高士圖)」(개인 소장), 「옥순봉(玉筍峯)」(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모루관폭도(茅樓觀瀑圖)」(개인 소장) 등에서는 이인상의 영향이 뚜렷하다. 제발에서도 그렇게 기술하고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산수인물도(山水人物圖)」(민병도 소장)에 구사된 담채법(淡彩法)과 암봉(巖峯)의 독특한 표현은 후대에 이재관(李在寬), 김수철(金秀哲), 김창수(金昌秀) 등으로 이어졌다. 조선 후기 문인화풍의 한 계보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

제61회 여름경매

제 52회 장터경매

제60회 봄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