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기은 박문수 耆隱 朴文秀Park MunSu

1691 ~ 1756

조선

작가약력

  • 1691(숙종 17)∼1756(영조 32). 조선 후기의 문신.

작가 소개

본관은 고령(高靈)이며 자는 성보(成甫), 호는 기은(耆隱)이다. 1723년(경종 3)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사관(史官)이 되었다. 1724년 병조정랑(兵曹正郞)에 올랐다가 노론(老論)이 집권하자 삭직당했다. 1727년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소론(少論)이 득세하자 사서(司書)에 등용되어 영남 암행어사로 나가 부정관리들을 적발했다.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는 종사관(從事官)으로 출전, 전공을 세워 경상도 관찰사에 발탁되고, 분무공신(奮武功臣) 2등에 책록되어 영성군(靈城君)에 봉해졌다.
1730년 호서어사(湖西御史)로 기민(飢民) 구제에 힘썼으며, 1734년 진주부사(陳奏副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병조판서 등을 지냈다. 1738년 다시 동지사(冬至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앞서 안동서원(安東書院)을 철폐시킨 일로 탄핵을 받아 풍덕부사(豊德府使)로 좌천되었다. 1741년 어영대장(御營大將)에 이어 함경도 진휼사(賑恤使)로 나가 경상도의 곡식 1만 섬을 실어다가 기민을 구제하여 송덕비가 세워졌다.
그 후 병조판서를 지내고 경기도 관찰사가 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아 황해도 수군절도사로 좌천되었다. 1749년 호조판서가 되어 양역(良役)의 폐해를 논하다가 다시 충주목사(忠州牧使)로 좌천되었다. 그 뒤 영남균세사(嶺南均稅使) 등을 거쳐 세손사부(世孫師傅)를 지내고, 1752년 왕세손(王世孫:琔  ) 이 죽자 약방제조(藥房提調)로서 책임을 추궁당해 제주(濟州)에 안치, 이듬해 풀려나 우참찬(右參贊)이 되었다.
군정(軍政)과 세정(稅政)에 밝았으며, 암행어사 때의 많은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저서로는 《탁지정례(度支定例)》, 《국혼정례(國婚定例)》가 있고, 글씨로는 《오명항토적송공비(吳命恒討賊頌功碑)》가 있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두산백과

작가의 경매 작품

제66회 가을경매

제46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56회 봄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