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배동신 裵東信Bae DongShin

1920 ~ 2008

한국

서양화

작가약력

  • 학력사항
  • 1944, 일본 가와바타 미술학교
  • 1937, 박수근에게 사사
  • 경력사항
  • 1985, 한국수채협회 자문위원
  • 1945~1949, 광주서중 미술교사
  • 1939~1945, 渡日
  • 1939, 평양 미나까이백화점 장식부 근무
  • 전시
  • 개인전
  • 2003, 개인전, 수가화랑
  • 1986, 개인전, 가람화랑
  • 1982, 제25회 배동신 수채화전, 신세계미술관
  • 1982, 제25회 개인전 수채화전, 신세계미술관
  • 1976, 제23회 배동신 수채화전, 회화랑
  • 1974, 수채화전, 미술회관
  • 1974, 개인전, 오사카, 도쿄
  • 1973, 개인전, 미술가화랑, 동경
  • 1973, 제20회 개인전, 신문회관
  • 1973, 개인전, 제일화랑
  • 1947, 제1회 개인전, 광주도서관
  • 단체전
  • 1998, 제66회 구상전-회원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6, 한국수채화협회전, 서울갤러리
  • 1996, 제62회 구상전, 지구촌갤러리
  • 1995, 제61회 구상전, 한가람미술관
  • 1993, 국립현대미술관 원로작가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2, 원로작가회화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2, 구상전, 예술의전당미술관
  • 1989, 자화상시리즈초대전, 신세계미술관
  • ...
  • 1978, 제1회 중앙 미술대전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8, 제9회 황토회전, 코스모스다방, 순천
  • 1978, 구상전 지방 초대전, 전북 예술회관
  • 1977, 한국미술 대상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7, 한국 현대미술대전 :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6, 30인 초대전, 문화화랑
  • 1976, 수채화 초대전, 희화랑
  • 1970, 황토회 창립전(순회전)
  • 1968, 수채화창작가협회 창립전
  • 1968, 대한민국 수채화창작가협회 창립전
  • 1943, 제7회 일본자유미술창작가협회전, 우에노미술관, 동경
  • 등 전시
  • 수상
  • 2000, 보관문화훈장(문화예술발전에 기여)
  • 1997, 제6회 오지호 미술상
  • 1974, 전라남도 문화상(예술부문)
  • 1943, 일본 자유미술창작가협회 공모전 입선(초상)

작가 소개

1920년 6월 16일 전라남도 광주시 광산구 송정동에서 출생하여 광주 서석초등학교에서 벌교초등학교로, 다시 여수 서초등학교로 옮겨 수학하였다. 1943년 일본 카와바타(川端) 미술학교 양화과(洋畵科)를 졸업하였다.
1936년 그림을 그리러 간 금강산에서 박수근(朴壽根)을 만나 그림지도를 받았으며, 평양의 미나까이(三中井) 백화점 장식부에서 일하며 문학수(文學洙), 장리석(張利錫)과 교류하였다. 1937년 일본으로 가서 유학했다. 1945년 일본인 아내 와타나베 마사에, 아들 배용과 함께 귀국하여 전라남도 나주에 정착하였으나 부인은 생활고를 견디지 못하고 아들, 딸과 함께 일본으로 돌아갔다. 1958년 전남여자고등학교 재직 시절 제자였던 김연규(金年圭)과 결혼하였다.
1943년 일본 자유미술창작가협회 정회원이 되었다. 1946년부터는 광주서중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순천사범학교, 진도중학교, 영암중학교에서 미술교사로 재직하며 작품활동을 하였다. 1947년 제1회 개인전을 광주도서관에서 개최한 이후 1964년, 1967년, 1969년 전라도에서 ‘수채화 개인전’을 열었으며, 1973년 서울, 1974년 일본 도교(東京)과 오사카(大阪)에서 개인전을 개최하는 등 수십 번의 개인전을 열었다. 1968년에는 박철교, 강연균, 우제길과 함께 ‘수채화 창작가협회’를 조직하고 초대회장으로 활동하였다. 1970년오지호, 김영태, 최용갑, 김인규, 강동문, 김수호와 ‘황토회’전을 조직하고, 목포 미로화랑에서 제1회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1972년에는 ‘구상전’에 초대 회원이 되었으며, 1975년에는 ‘한국수채화협회’ 초대회장이 되었다.
1978년부터 서울로 옮겨 활동하였으며, 1989년 전라남도 여수시로 내려와서 작품활동을 이어갔다. 1998년에는 광주시립미술관에서 배동신 수채화 60년 초대전을 열었다.
누드, 과일바구니, 항구, 산을 주로 그렸는데, 특히 광주에 있는 무등산 즐겨 그렸다. 대부분 수채화로 제작하였는데, 큰 붓을 이용한 빠른 필치를 보여주며, 과감한 생략과 확대를 통해 대상을 변화시켰다. 또한 자유로운 선의 사용으로 운동감과 양감을 표현하였다.
1943년일본의 제7회 자유미술창작가협회전에 「소녀」로 입상하였다. 1974년 전라남도 문화상, 1997년 제6회 오지호미술상, 2000년 보관문화훈장을 받았다.
출처/월간미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

제58회 가을경매

제30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 51회 겨울경매

제 41회 장터경매

제27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20회 I Contact 온라인경매

제 45회 여름경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