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검색

작품이미지

애당 권동진 愛堂 權東鎭Kwon DongJin

1861 ~ 1947

근대

작가약력

  • 1861(철종 12)∼1947. 독립운동가.

작가 소개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호는 애당(愛堂)·우당(憂堂), 천도교에 입교한 뒤의 도호(道號)는 실암(實菴). 경기도 포천 출생이며 서울에서 성장하였다.
19세에 조선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2년 과정을 마치고 육군 초관으로 3년간 근무한 뒤, 함안군수를 1년간 역임하였다. 그 뒤, 거문도첨사로 있을 때 명성황후 시해사건에 연루된 혐의를 받아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11년간 동경에 체류한 후, 귀국하여 다시 중추원부참의로 2개월간 있었다.
1906년 대한협회 부회장으로 민중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일본에서 사귀었던 손병희(孫秉熙)의 영향으로 천도교에 입교, 도사(道師)가 되어 전도에도 종사했다.
1918년 11월 일본 오사카[大阪]『매일신보(每日新報)』에 소개된 미국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 14개 조항을 읽고, 보다 구체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12월에 천도교측의 오세창(吳世昌)·최린(崔麟) 등과 함께 최초로 독립운동을 발의하여 손병희와 상의하였다.
그들은 첫째, 독립운동의 대중화, 둘째 독립운동의 일원화, 셋째 독립운동의 비폭력화를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거족적으로 펴기 위해 기독교·불교·유림 등 각종 종교단체를 망라하는 동시에, 당시의 저명인사들로 민족대표를 구성하기로 합의하였다.
3월 1일 태화관(泰和館)의 독립선언식에 참가해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천도교측 15인 중 1인으로 잡혀,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3년형을 선고받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출옥한 뒤에는 천도교에서 발간하던 잡지 『개벽』의 편집진으로, 또한 신간회(新幹會)의 부회장으로 적극적인 항일민족운동을 전개하였다.
1926년 3월에는 서울시 종로구 당주동 자택에서 민족주의와 공산주의가 연합해 민족운동을 전개할 것을 논의하였다. 5월에는 공산당과 급진민족주의자들이 국민당을 조직하여 일대 민족독립운동을 계획하였으나 일본 경찰의 사전검거로 실패하였다. 당시 그는 공산주의계 인물로 일본 경찰의 주목 대상이었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의 배후 세력으로 신간회는 엄중한 경계 속에서 일대 시위운동과 대연설회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학생만세운동의 진상 공개, 구금 학생의 무조건 탈환, 경찰의 학원유린 배격, 포학한 경찰정치 타도 등의 내용으로 강연을 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이 때 연사로 권동진 이외에 허헌·홍명희·조병옥·이관용 등을 내정하였다. 그러나 또다시 사전에 탄로되어 서울 종로경찰서에 검거, 징역 1년형을 선고받았다. 광복 뒤에는 신한민족당 당수·민주의원 등을 역임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작가의 경매 작품

제 57회 장터경매

제44회 I Contact 온라인경매